삼성전자 CES 2026 혁신상 수상(삼성전자 제공)
국내 기업들이 내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6'를 앞두고 혁신상을 대거 수상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5일(현지시간)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발표한 CES 혁신상 수상 제품과 기술 명단에는 삼성전자(005930), LG전자(066570)를 비롯해 로봇, 전장, 배터리 등 분야에서 국내 기업이 다수 포함됐다.
삼성전자 최고상 포함 27개…LG OELD TV 등 18개
삼성전자는 최고혁신상 3개를 포함해 영상디스플레이 12개, 생활가전 4개, 모바일 3개, 반도체 7개, 하만 1개 등 총 27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영상디스플레이 부문에서는 최고 혁신상 2개를 받았으며, 2026년형 TV, 모니터 등 신제품과 서비스로 10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생활가전 부문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냉장고 오토 오픈 도어' 기능을 비롯한 2026년형 가전 신제품과 기술로 4개의 CES 혁신상을 받았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갤럭시 XR', '갤럭시 Z 폴드7', '갤럭시 워치8'로 3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양자보안 칩 'S3SSE2A'이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최고혁신상, 임베디드 기술 분야에서도 혁신상을 받았다. 'LPDDR6', 'PM9E1', 'Detachable AutoSSD (탈부착 가능한 차량용 SSD)', 'ISOCELL HP5', 'T7 Resurrected'로도 혁신상을 받았다.
LG전자는 투명·무선 올레드(OLED) TV가 4년 연속 최고 혁신상을 수상하는 등 총 18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스마트 TV 플랫폼 웹OS는 2년 연속으로 사이버보안 부문에서 상을 받았고, 인공지능(AI) 부문에서도 수상하며 2관왕에 올랐다. 로봇청소기 신제품 '히든 스테이션'도 가전 부문에서 수상했다. 싱크대 걸레받이 부분에 설치할 수 있는 히든 스테이션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로봇 청소기가 스테이션으로 쏙 들어가 보이지 않는다.
이 밖에 △마이크로 RGB 기술을 적용한 프리미엄 LCD TV △이동식 스크린의 대표주자 'LG 스탠바이미 2' 등이 수상했다.
삼성SDI 초고출력 배터리, LG엔솔 SW 수상
배터리와 전장 등 국내 부품사들도 세계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삼성SDI(006400)의 초고출력 원통형 배터리인 'SDI 25U-Power'는 최고 혁신상을 받았다. 이 제품은 기존 배터리 무게의 절반으로 동일한 출력을 내는 초고출력 18650 원통형 배터리(지름 18㎜, 높이 65㎜)로, 주로 전동공구에 탑재돼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첨단 안전성 기술인 'No TP'(열전파 차단)는 차량기술 및 첨단 모빌리티 부문에서 혁신상을 받았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 첨단 모빌리티 부문에서 'Better.Re(배터.리) 설루션'이 혁신상을 수상했다. 배터리 기업이 순수 소프트웨어 기술로 CES 혁신상을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배터리 설루션은 배터리의 퇴화를 늦추고, 이상 현상을 사전 예측해 배터리 수명을 최대 2배 이상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자체 개발한 배터리 수명예측 알고리즘에, 약 12억㎞에 달하는 실제 주행 데이터와 충전 및 주차 등의 다양한 운전 운행 정보 등을 토대로 개발됐다.
LG이노텍(011070)은 새로 개발한 차량용 '초슬림 픽셀 라이팅 모듈'로 2년 연속 혁신상을 받았다. LG이노텍은 업계 최초로 흰색 실리콘 소재를 사용한 반사용 광학 부품을 독자 개발했다. 이 부품만으로도 균일한 밝기의 빛을 구현할 수 있어 플라스틱 렌즈나 빛 반사를 위한 별도 부품을 탑재할 필요 없다.
초슬림 픽셀 라이팅 모듈의 두께는 3㎜로 기존 제품 대비 71% 얇아졌다. 얇아진 만큼 제품의 무게도 줄었는데도 광효율은 기존 대비 30% 향상됐다.
두산로보틱스 '스캔앤고' 이미지(두산로보틱스 제공)
AI 기반 로봇설루션, 아동용 웨어러블 로봇 혁신상
두산로보틱스(454910)의 AI 기반 로봇설루션 '스캔앤고'는 AI 부문에서 최고혁신상, 로봇공학 부문에서 혁신상을 받았다. 스캔앤고는 로봇팔과 자율이동로봇(AMR)이 결합된 플랫폼에 물리정보 기반 AI와 첨단 3D 비전을 적용해 다양한 작업을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
터빈 블레이드, 항공기 동체, 건물 외벽 등 대형 복합 구조물의 표면을 스캔해 최적의 작업 경로를 생성한 후 검사, 샌딩, 그라인딩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이다.
위로보틱스의 성장기 아동을 위한 보행 보조 웨어러블 로봇 '윔 키즈'(WIM KIDS)는 디지털 헬스 부문 혁신상을 받았다. 이로써 위로보틱스 '윔'은 CES2024부터 3년 연속 수상에 성공했다.
윔 키즈는 성장기 아동의 다리 길이에 맞춰 3단계로 교체 가능한 모듈형 프레임 시스템이 적용됐다. 초경량 메커니즘과 AI 개인맞춤 알고리즘을 통해 성장기 아동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러운 보행 보조를 구현한다.
출처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