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오성홍기

철강, 이차전지, 자동차 등 한국 10대 수출 주력업종 중 절반이 이미 중국에 이미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5년 뒤에는 10대 업종 모두가 뒤처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10대 수출 주력업종의 매출액 1000대 기업(20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최근 시행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 결과를 17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기업들이 가장 많이 꼽은 최대 수출 경쟁국은 중국(62.5%)이었다. 미국은 22.5%, 일본은 9.5%로 나타났다.

5년 뒤인 2030년의 최대 수출 경쟁국을 묻는 질문에는 중국이 68.5%로 6%포인트 올랐다. 미국(22.0%)과 일본(5%)은 다소 낮아졌다. 중국과의 수출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을 의미한다.

기업들은 또 한국의 기업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할 경우 미국은 현재 107.2, 중국 102.2, 일본 93.5라고 답했다. 2030년에는 미국 112.9, 중국 112.3, 일본 95.0일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기업들은 한국의 기업 경쟁력이 이미 미국과 중국에 뒤처지고 있다고 봤다. 5년 후에는 중국의 경쟁력이 미국과 대등한 수준까지 발전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업종별 기업경쟁력을 100으로 두고 중국과 비교해 보면 현재 중국은 철강(112.7), 일반기계(108.5), 이차전지(108.4), 디스플레이(106.4), 자동차·부품(102.4) 등 5개 업종에서 한국보다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반도체(99.3), 전기·전자(99.0), 선박(96.7), 석유화학·석유제품(96.5), 바이오헬스(89.2) 등 5개 업종은 한국이 경쟁 우위인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2030년에는 10개 주력업종 모든 분야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한국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이차전지 경쟁력은 중국이 119.5에 달하고, 일반기계(118.8), 철강(117.7), 자동차·부품(114.8) 등에서도 중국이 큰 격차로 우위를 보일 것으로 관측됐다.

한국의 업종별 기업경쟁력을 미국과 비교한 결과 현재 한국이 경쟁력이 앞선 분야는 철강(미국 98.8), 선박(90.8), 이차전지(89.5) 등의 3개 업종뿐이었다.

다만 2030년에는 미국이 철강 부문(100.8)에서 한국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돼 한국이 미국보다 경쟁력이 높은 업종은 선박(미국 90.0)과 이차전지(93.4) 등 2개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분야별로 중국은 가격경쟁력, 생산성, 정부 지원 등에서, 미국은 상품 브랜드, 전문인력, 핵심기술 등에서 한국에 비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은 상품 브랜드에서만 중국에 비교우위가 있는데, 5년 후에는 이마저도 중국에 밀릴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과는 생산성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경쟁력 격차가 확대될 것으로 관측됐다.

기업들은 경쟁력 제고의 주요 걸림돌로 국내 제품경쟁력 약화(21.9%)와 대외리스크 증가(20.4%)를 꼽았다. 또 인구감축 등에 따른 내수 부진(19.6%), 인공지능(AI) 등 핵심 기술 인력 부족(18.5%) 등을 지적했다.

출처 디지털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