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14일 세종 국책연구단지에서 ‘출연연 인공지능(AI) 연구개발 세미나’를 열고,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중심의 AI 기술 개발 전략과 협업 구조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NST 김영식 이사장과 민병권 융합전략본부장, 강헌수 융합기획부장을 포함해 기술전략 실무자들이 자리를 함께했으며, 에너지연, KIST, KISTI, 원자력연, ETRI 등 주요 기관 전문가들이 발제 및 토론자로 참여했다. 이외에도 한국무역정보통신 고진 사장, 김경진 법률사무소의 김경진 변호사, 기술과가치의 임윤철 대표 등 산업 및 법조계 전문가들이 실질적 의견을 개진했다.
세미나에서 발제를 맡은 이용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시각지능연구실장은 “AI 반도체, AI 휴머노이드, AI 안전 분야는 산업 간 집약과 선순환이 필수적”이라며 “이를 위한 제도 개선과 칸막이 해소, 인재 육성 정책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의 분산된 출연연 구조로는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울 것 같다”고 강조했다.
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AI·계산과학실장 역시 AI의 실용적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최근 발전한 대규모 언어모델(LLM)은 연구자들이 겪는 행정 부담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닌 연구 환경을 개선하는 도구”라고 말했다.
토론에서는 출연연 중심의 통합형 AI 연구개발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공통적으로 제기됐다. 김익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AI·로봇연구소장은 “AI는 더 이상 개별 기관의 보조 수단이 아닌, 전략적 핵심 자산”이라며 “정부는 출연연 중심의 대규모 협업 기반을 구축하고, 이를 뒷받침할 투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용균 한국원자력연구원 인공지능응용연구실장은 “지금처럼 각 기관이 AI를 단순 도구로만 활용한다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며, “AI를 중심으로 한 출연연 간 협력과 벽 허물기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세미나는 다양한 출연연이 AI를 중심으로 협업하고, 국가 차원의 기술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도출하는 데 의의를 뒀다. NST는 향후 이 같은 세미나를 정례화해 출연연 간 장벽을 허무는 제도적·기술적 논의의 장을 확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