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8일(현지시간) 중국 옌타이에서 열린 제26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26)에 앞서 아사오 게이이치로 일본 환경성 장관(왼쪽부터), 황룬치우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중국 산둥성 옌타이에서 개최된 제26차 3국 환경장관회의가 28일 종료됐다. 한·중·일 환경장관들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내년부터 기후변화 정책 대화를 정례화하는 등 녹색 전환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28일 환경부에 따르면, 전날부터 이틀간 진행된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에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과 황룬치우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 아사오 게이이치로 일본 환경성 장관은 동북아 환경협력의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 3국은 그동안 대기질 개선과 생물다양성의 보전에 집중했던 3국 환경장관회의를 한 단계 발전시켜 앞으로는 기후분야 협력을 대폭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를 위해 3국은 이틀간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포함한 주요 기후현안을 논의했다. 내년부터 기후변화 정책 대화를 정례 개최하고, 탄소시장과 탄소표지(라벨링)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앞서 진행된 한·중 양자회담에서 양국은 청천계획의 대기질 개선 성과를 공유하고, 한중환경협력센터를 중심으로 기후위기 대응과 플라스틱 오염 등 글로벌 환경 현안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일 양자회담에서는 내년에 시행될 일본의 배출권거래제(ETS)와 관련해 우리나라의 탄소시장 경험을 공유하고, 외래생물종 대응과 국제적 멸종위기종 보호 등 생물다양성 분야의 협력을 논의했다.

김성환 장관은 본회의에서 “대한민국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국가 환경전략으로 삼았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기후·에너지·환경 기능을 통합한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0월 초에 출범된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김 장관은 “한·중·일 3국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며 “3국의 기후 대응 협력은 지구적 탄소중립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룬치우 중국 장관과 아사오 게이이치로 일본 장관은 우리나라의 조직 개편을 축하하고, 탄소중립 정책의 차질 없는 이행을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이번 3국 환경장관회의에서는 다양한 부대행사도 열렸다. 김 장관은 청년 포럼에 참석한 우리나라 청년 대표 5명과 의견을 나누면서 “각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는 공동의 대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미래세대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뒤이어 김 장관은 폐회발언에서 “한·중·일 3국은 환경협력을 통해 과거의 도전을 함께 극복해왔으며 이제는 기후위기라는 문명적 과제 앞에서 새로운 행동을 약속했다”며 “오늘의 합의와 약속이 동북아를 넘어 세계의 녹색전환을 이끄는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3국 환경장관회의는 1999년 우리나라의 제안으로 출범해 매년 3국이 교대로 개최해온 동북아 대표 환경협력체이다. 이 회의는 지난 27년 동안 △미세먼지 등 대기질 개선 △따오기 복원과 같은 생물다양성 보전 △환경표지 공통기준 마련 등 지역 환경현안을 개선해왔다.

출처 이데일리